<aside>
💡
“데이터로 전지구적인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문제에 대해서 조사 후 기술 적용 케이스 스터디를 통해 탐색하기
</aside>
-
오늘 진행할 것
- 자기소개
- 본명 - 김동섭님(프로덕트 데이터 분석가), 최우진님(프로덕트 오너), 이기운님(빅데이터, 연구원), 윤혜진님 (데이터 엔지니어, 개발, 기획), 전하림님
- 스터디 내용 소개
- 스터디 세부 진행 정하기
-
주제 : 데이터로 어떻게 전지구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 빈곤, 식수, 위생, 전쟁, 기후문제 등 다양한 전 지구적인 문제는 무엇이고, 이에
데이터 / 전반적인 기술
가 어떻게 기여하는지 알아보기
-
의도 : 문제에 대한 이해 & 다양한 접근 방식에 초점
문제 정의
전지구적인 조사를 통해 “문제”를 정확히 정의하고 이해 (의미있는 솔루션의 기반)
기술 적용 케이스
방대한 전세계적 지속가능 발전문제를 (인권, 식수, 위생, 전쟁 등) 기술로 해결한 케이스 스터디
- 케이스 기반 접근을 통한 구체적인 인사이트
- 해당 분야 (data for good) 내에서의 전문성 증진 & 본업과의 시너지
- 기술 자체에 대한 지식 습득
- 다양한 분야에 대해 내가 해결하고 싶은 문제 / 접근 방식 탐색
- 빈곤국 & 전지구적 기후 문제에 특히 초점
-
내용 :
- 케이스 스터디 + 해당 분야의 문제 deep dive + 어떻게 기술적으로 해결했는지 조사
-
예시 :
- 1주차 : 식량문제
- 케이스 : 식량문제를 기술적으로 해결하는 케이스 조사 (뉴스, 논문 등) (
필수
)
- 도메인 : 해당 국가의 식량 문제에 대해서 조사 (왜 문제이고, 어떤 기후에서 어떤 식량이 나는지, 경제적인 구조는 어떻게 되어있는지.. 등등)(
필수
)
- 기술 : 해당 기술/기술이 적용된 방법 (아키텍쳐, 데이터 모델링 방법론 등) 에 대해서 조사 (알려진 것이 없다면 구상해보기)(
필수
)
- 그 외 : 비즈니스 모델이나, 경제/정치학/문화적 이론 등 자신이 원하는 것 (
자율
)
-
주차별 순서 :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17개) 의 목표를 주차별로 따라가기
- 1주차 : 빈곤
- 2주차 : Hunger
- 3주차 : 건강
- 4주차 : 교육
- 5주차 : Gender Equality
- 6주차 : Clean Water and Sanitation (WASH)
- …
-
운영 방식 :
- (
투표
)만나는 시간
1달에 2번 (격주)
→ 1달 정도 해보고 논의하기
- 1달에 1번
- 온라인 미팅 (구글밋 - 구글밋은 제가 열게요!)
- 퍼실 (돌아가면서!)
- 주말 or 평일? 시간?
- 혜진님 : 평일 저녁
- 동섭님 : 평일 저녁
- 기운님 : 평일 저녁
- 우진님 : 평일 저녁
화/수/목 저녁
⇒ 그때 그때 정하기
- 발표 방식 :
- 하나의 주제 (동일한 지속가능 발전 목표 중 하나) 관련해서 발표하되 모두 다른 케이스에 대해서 발표
- (
투표/논의
)1회차에 주제 수 : 1개 or 2개
- 돌아가면서 1회차에 2명이 발표할지, 아니면 모두 발표할지는 1달에 만나는 회수에 따라 결정
- 1달에 2번의 경우
- 발표 자료는 노션 혹은 PPT 준비
-
그 외 액티비티
-
카톡 - 1회차 스터디 일정
https://www.canva.com/design/DAFlNwBghQ8/BGKlzFUcWE7fA7sPJhZJ_w/edit?utm_content=DAFlNwBghQ8&utm_campaign=designshare&utm_medium=link2&utm_source=sharebutton
스터디 구상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