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통 의견 : 바로 프로젝트를 하기보다는 먼저 해당 분야의 지식에 대해서 아는것이 중요.
하림’s idea
<aside>
1달에 1번 혹은 1달에 2번 + 1안/2안을 조합해서 진행
(1안, 2안 설명은 하단에..)
-
1달에 2번 : 소요 시간을 줄이기 위해 1안(케이스 스터디)과 2안(도서)을 번갈아가며 하는것은 어떨지?
-
1달에 1번 :
a. 1안(케이스 스터디) 과 2안(도서) 을 동시 진행하나, 2안(도서) 에 대해서는 최대한 리소스가 들지 않도록 진행하는것?
b. 1안(케이스 스터디) 만 진행
c. 2안 먼저 진행 후 1안 진행
등 다양한 조합 가능!
</aside>
1안
- 데이터/기술로 문제를 해결한 케이스 스터디
- 해당 분야의 문제 deep dive
- 어떻게 기술적으로 해결했는지 조사
- 예시 :
- 1주차 : 식량문제
- 케이스 : 식량문제를 기술적으로 해결하는 케이스 조사 (뉴스, 논문 등)
- 도메인 : 해당 국가의 식량 문제에 대해서 조사 (왜 문제이고, 어떤 기후에서 어떤 식량이 나는지, 경제적인 구조는 어떻게 되어있는지.. 등등)
- 기술 : 해당 기술/기술이 적용된 방법 (아키텍쳐, 데이터 모델링 방법론 등) 에 대해서 조사 (알려진 것이 없다면 구상해보기)
- 그 외 : 비즈니스 모델이나, 경제/정치학/문화적 이론 등 자신이 원하는 것
- 해당 방법론 제시 이유 :
- 도메인 지식 (인권, 식수, 위생, 전쟁 등) 을 근본부터 공부하기에는 방대하므로 케이스를 통한 접근
- 데이터/기술과의 연관성을 통한 해당 모임의 정체성 유지
- 데이터/기술이 사회적 선을 위해 쓰인 상황에 집중하여 해당 분야 (data for good) 내에서의 전문성 증진 & 본업과의 시너지
- 주차별 순서 :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17개) 의 목표를 주차별로 따라가면 어떨지?
- 1주차 : 빈곤
- 2주차 : Hunger
- 3주차 : 건강
- 4주차 : 교육
- 5주차 : Gender Equality
- 6주차 : Clean Water and Sanitation (WASH)
- …
2안
책을 1권 정해서, 1단원씩 정리 & 이야기하기
- 추천 서적 - 가난한 사람이 더 합리적이다 (노벨상 수상작)
- 경제학 서적이긴 하나, 읽기 어렵지 않을 수도..?
- 빈곤 해결 분야에 ABTesting 을 제대로 도입한 케이스로서 이 분야에서 유명한 서적
- 식수 위생, 교육, 금융, 영양 등 다양한 분야를 단원별로 다룸
- 개인적으로 노션 정리해서 나누거나, 아니면 몇가지 발제해서 이야기 하거나.. 아니면 읽어오기만 하거나,, 다양한 방법으로 가능
3안
특정 주제 논문 찾아읽기
4안
특정 주제 최신 뉴스/이슈 정리해보기
Other ideas for the future (당장은 아니지만 까먹을까봐 써두는 아이디어)
- 데이터 분석/툴 제작, 블로그포스팅, 논문, 툴 Publish (미래)
- 실제 NGO 컨설팅 /volunteering 하기